(마 9:9~13) 마태를 부르시다
어제까지 해서 예수님을 따르는 길, 즉 제자도란 무엇인가 하는 메시지에 초점을 맞추어서 말씀을 나누었습니다. 이제 이러한 제자도를 어떻게 하여 걷게 되었는가 하는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특별히 오늘의 말씀은 마태복음의 저자인 마태의 개인적인 신앙 간증과 같은 말씀입니다. 당대에 세리라는 직업은 매국노나 수전노와 같은 멸시를 받던 직업이었습니다. 조국의 원수인 로마의 힘을 등에 업고 동포들의 고혈을 짜내어 더러운 이득을 취하는 세리를 누군들 좋아했겠습니까? 또한 세리들 역시도 누군들 좋아서 그 일을 시작했겠습니까? 그러나 당대 시대가 그토록 각박했습니다. 자존심을 팔아먹어서라도, 양심을 팔아먹어서라도 살아남지 않으면, 누군가에게 잡아먹히고 마는 비정한 시대였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세리가 되는 것을 그 무엇으로도 정당화 할 수는 없겠지요.
마태 본인도 마찬가지였을 겁니다. 세리라는 이 일은, 이것은 옳지 않은 일이고 수치스러운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역겹더라도 자신의 처지로서는 할 수밖에 없던 일이었습니다. 어쩌면 마태로서는 이러한 자신의 과거를 할 수만 있다면 감추고 싶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자신이 어떻게 하여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가 되었지를 알리고 싶었습니다. 부끄럽고 욕된 자신의 인생 가운데 어떻게 하여 새로운 길이, 생명의 길이 열리게 되었는지 알리고 싶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찾아오셨기 때문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불러주셨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단순하지만, 그러나 중대한 바로 그 사건 때문에, 자신의 삶이 송두리째 바뀐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새 삶이 시작되었다고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여전히 과거가 마태의 뒷목을 붙잡았습니다.
11절: 바리새인들이 보고 그의 제자들에게 이르되 어찌하여 너희 선생은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잡수시느냐
이 순간 마태는 얼마나 난감했을까요? 또한 예수님께 얼마나 죄송했을까요? 잠시나마 느꼈던 해방감과 감사함이 일순간에 얼어붙고 말았을 것입니다. '그럼, 그렇지. 나 따위가 어찌 이런 대우를 받을 수 있단 말인가!' 그러나 예수님이 이 한 마디가, 마태를 다시 살게 했습니다.
12-13절: 예수께서 들으시고 이르시되 건강한 자에게는 의사가 쓸 데 없고 병든 자에게라야 쓸 데 있느니라 너희는 가서 내가 긍휼을 원하고 제사를 원하지 아니하노라 하신 뜻이 무엇인지 배우라 나는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부르러 왔노라 하시니라
"걱정 말아라! 마태 너를 부르려고 내가 왔다. 죄인인 너를 부르려고 왔다. 바로 너야말로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다."
그날에 마태가 누렸던 이 위로가, 이 감격이, 오늘 하루 이 말씀을 묵상하는 우리 모두에게 가득하기를 소망합니다. 마태를 부르셨던 그 소명이, 오늘 하루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동일한 부르심이 되기를 축복합니다.
[QT] 2021.02.18 (0) | 2021.02.18 |
---|---|
[QT] 2021.02.17 (0) | 2021.02.17 |
[QT] 2021.02.16 (0) | 2021.02.16 |
[QT] 2021.02.15 (0) | 2021.02.15 |
[QT] 2021.02.12 (0) | 2021.02.12 |